자존감(5)
-
심리학으로 알아본 자아존중감 - 심리학, 자존감을 부탁해(요약)(해석) 1 (인식)
목표 1. 낮은 자존감이란 무엇인지 알아본다. 2. 낮은 자존감의 근간이 되는 4가지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3. 낮은 자존감을 극복하기위한 마음가짐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낮은자존감이란? - 낮은 자존감을 가졌는지에 대해 알기위한 간단한 질문을 한가지 뽑아보자면 "내가 가진 약점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일것이다. 이 질문은 간단해보이지만 4가지 요소에대해 물어보는 질문이다. 그 요소에는 믿음, 두려움, 회의감, 자기방어가 있다. 그렇다면 각각의 요소를 통해 어떻게 자신이 낮은자존감을 가졌는지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낮은 자존감의 근간이 되는 4가지 소요 1. 믿음 - 낮은 자존감을 가진사람은 믿는것이 약해 자기자신조차 믿지못한다. 그렇기에 자기자신에 대한 능력을 계속해서 의심하기..
2022.06.21 -
심리학, 자존감을 부탁해 - 프롤로그 (자존감은 심리적 문제이다.)
책의 목적 - 책은 너무 남의 눈치를 보기에 우리의 의견조차 말하지 못하는 낮은 자존감을 가진사람들을 에게 "우리가 낮은 자존감을 가진이유는 이런 심리적인 지식의 부재가 있기때문이야." 라고 말하며, 그 지식의 부재를 메워주기 위해 총 4단계로 나누어 높은 자존감을 갖기위한 과정을 설명하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책의 구성 1. 인식 : 모든 문제해결은 문제를 인식하는것에서 시작한다. 심리학으로 알아본 자아존중감 - 심리학, 자존감을 부탁해(요약)(해석) 1 (인식) 목표 1. 낮은 자존감이란 무엇인지 알아본다. 2. 낮은 자존감의 근간이 되는 4가지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3. 낮은 자존감을 극복하기위한 마음가짐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낮은 golmoc.tistory.com 2. 원인 ..
2022.06.17 -
시기심의 본질과 이용 - 인간본성의 법칙(요약/해석) 10 (시기심의 법칙)
우리는 누군가를 보고 질투의 감정을 느끼기도하고, 누간가로부터 질투를 받는다. 그리고 우리는 이런 질투와 시기심의 감정을 부정적인것이라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분 맞을순 있지만 모두 그런것은 아니다. 그런 관점애서 이 글은 질투의 감정의 본질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상대방의 질투가 의미하는 바와 상대의 질투를 알아내는방법을 알아보며, 개인적 질투의 감정을 이용하는방법을 알아보기위해 작성했다. 목표 1. 우리가 상대에게 시기심을 가지는 이유를 안다. 2. 상대의 시기심을 샀을 때의 분석하는 방법과 시기심이 많은 유형을 알아본다. 3. 상대의 시기심을 사지 않기위한 방법과 개인적으로 시기심을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인간본성의 법칙 1. 우리는 자신과 별다를것 없어보이는 사람이 ..
2022.05.24 -
욕망은 당연한것이다. - 인간본성의 법칙(요약/해석) 9 (억압의 법칙)
우리는 종종 자신이 가진 욕망을 억누르고 감추곤한다. 하지만 이런 욕망을 억누르고 감출수록 우리에겐 이상한 감정이 싹트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런 이상한 감정의 싹은 왜곡되고 변질되어 우리의 삶을 위협하곤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우리의 욕망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우리가 욕망을 억압하는것이 어떤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지와 억압된 사람들의 유형을 알아보고, 억압된 부분을 해방시키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려한다. 목표 1. 자신에게 억압된 부분은 어떻게 생긴것인지 안다. 2. 자신의 억압된 부분이 자신에게 어떤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억압된 사람들의 유형을 알아본다. 3. 억압된 부분을 해방시키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인간본성의 법칙 1. 사람은 자기만의 비밀이 존재하고, 이 비밀을 들키면 수..
2022.05.24 -
자존감은 이기심에서 나온다 - 인간본성의 법칙(요약/해석) 2 (자기도취의 법칙)
우리는 종종 상대방에게 원치 않게 휘둘리곤한다. 그리고 이런 우리의 모습에 우울한 감정을 가져오고 이런 악순환은 반복되어 우리를 좀먹는다. 그렇다면 우리가 남들에게 휘둘리는 이유가 무엇이고, 어떻게하면 상대방의 휘둘림에서 벗어날 수있는지 알아보도록하자. 목표 (feat.안정된 나자신을 향해) 1. 우리는 모두 타인의 관심을 바라는 사실과 이유를 안다. 2. 타인의 관심에 휘둘리지 않기 위한 방법을 알고, 극단적 자기도취자의 유형을 알아본다. 3. 건강한 자기도취자와 자존감이 무엇인지를 알고, 되기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인간본성의 법칙 1. 사람은 자기자신을 최우선으로 둔다. 2.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타인의 관심을 갈망하지만 타인의 관심은 일정치 않거나 모두가 나누어 갖기에 충분치 않다. 자신을 최우..
2022.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