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 있는곳/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5)
-
공산주의의 단점과 세계의 위기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 부록 (중국은 세계 1위 국가가 될 수 있는가?) (세계에 닥친 심각한 3가지 문제)
+중국은 세계1위가 될 수 있을것인가? 1. 중국의 특징 - 세계 공식적 인구 1위 국가 - 세계에서 국가면적이 3번째로 큰 국가 (러시아 > 캐나다 > 중국) - 경제력과 정치력이 급성장한 국가 - 농업과 문명이 가장 먼저 발생한 두지역중 한곳 - 문자가 가장 만들어진 세 곳중 한곳 -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본토와 섬들 문화의 모태 - 공산주의 국가 2. 중국의 전성기(중국의 전성기와 식민지 전략에 실패한이유 - 지리적 구조와 사회적 구조) - 중국은 농업과 문명이 가장 먼저 발생한 두개의 지역중 한곳이다. 그렇기에 중국은 굉장히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고, 이는 다른 국가들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은 중국이 영국의 대항해시대를 열기전에 항해를 시도할 수 있었으며, 심..
2022.06.17 -
부자되는 방법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요약)(해석) 3 (국가적 관점으로 바라본 잘살기위한방법)(우리는 무엇을 위해 노력해야하는가)
목표 1. 국가적 관점에서 바라본 역사적 사실에 숨겨진 의미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2. 국가점 관점에서 바라본 의미를 통해 우리가 잘 살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국가점 관점으로 바라본 부유한국가가 되기위한 요소에 숨겨진 의미 외부적 요인 1. 농업 = 능력 (노동의 양과 결과의 양) - 우리가 농업을 인류의 1차 혁명이라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분업덕분이고, 분업의 이유는 하루를 살아가는데 하루를 전부다 소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전체 인구를 먹이는데 필요한 식량에 들어가는 노동력이 감소하였기에 그에 따른 잉여 노동력이 생기고 이는 다른 산업을 발전시키는 결과를 만들어 냈다고 볼 수 있는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농업은 우리가 가진 능력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치 우리가 생..
2022.06.15 -
개인과 국가의 연관성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요약)(해석) 2 (국가의 관점을 개인의 관점으로 보기 위해선)(개인과 국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앞장에서 국가가 부유해 지기위한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장에서는 국가와 개인에 존재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기반으로 국가가 부유해지기 위한 요인을 어떻게 개인의 삶에 적용시켜 나갈것인지 살펴보겠다 (앞장의 내용이 궁금하다면?) 부자나라와 가난한 나라는 무슨 차이가 있는가?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요약)(해석) 1 목표 1.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 국가에 차이가 생긴 이유를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요인으로 나누어 알아본다. 2. 농업의 빠른 시작이 국가의 부유함과 무슨상관이 있는지 알아본다. 3. 좋은 제도란 golmoc.tistory.com 목표 1. 개인과 국가는 어떤 공통점을 지니는지 알아본다. 2. 개인과 국가는 어떤 차이점을 지니는지 알아본다. 3. 둘 사이의 간극을 이해하고, 어..
2022.06.13 -
부자나라와 가난한 나라는 무슨 차이가 있는가?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요약)(해석) 1 (국가가 부유한 이유는 무엇인가)
목표 1.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 국가에 차이가 생긴 이유를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요인으로 나누어 알아본다. 2. 농업의 빠른 시작이 국가의 부유함과 무슨상관이 있는지 알아본다. 3. 좋은 제도란 무엇인지 알아본다. 국가적 관점에서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국가는 어떻게 생기는것인가? * 외부적 요인(= 지리적 요인) : 외부적 요인은 누가 먼저 시작할 수 있는 환경에 있었느냐를 결정지어준다. 1. 위도 - 농업 온대국가가 속해있는 위도는 열대국가에 비해 일조량과 강수량이 적어 수확의 횟수는 적을 수 있다. 하지만 농업에서 중요한것은 수확의 횟수이기도 하지만, 한 번수확할때 얼마나 많은양이 수확되느냐이다. 이런 관점에서 온대지역은 열대지역에 비해서 수확량을 많게 만들어주는 여러가지 요인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2022.06.12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 프롤로그
책의 목적 사회과학은 우리가 집단적으로나 개인적으로 하는 행동의 원인을 분명히 하여 체계화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학문입니다. 하지만 사회과학은 자연과학과 달리 우리가 특정 변수와의 인과관계를 알아내려해도 특정변수를 통제한 실험이 자연과학에 비해 쉽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자연과학에서 A의 변수가 B의 결과를 내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한다면, 다른 변수를 고정시키고 A가 있는실험 없는실험으로 시행하는데 불가능하지 않지만, 사회과학에서는 A변수가 있고없고에 따른 새로생기는 변수나, 두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상태와 규모를 고정시키기 어렵기에 특정변수가 특정결과를 내는지에 대해서 확정적으로 말하는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말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사회과학이 자연과학에 비해서 덜 정확하다거나 연구..
2022.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