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 프롤로그

2022. 6. 12. 18:59책이 있는곳/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출처 : 네이버 책>

의 목적

사회과학은 우리가 집단적으로나 개인적으로 하는 행동의 원인을 분명히 하여 체계화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학문입니다. 하지만 사회과학은 자연과학과 달리 우리가 특정 변수와의 인과관계를 알아내려해도 특정변수를 통제한 실험이 자연과학에 비해 쉽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자연과학에서 A의 변수가 B의 결과를 내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한다면, 다른 변수를 고정시키고 A가 있는실험 없는실험으로 시행하는데 불가능하지 않지만, 사회과학에서는 A변수가 있고없고에 따른 새로생기는 변수나, 두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상태와 규모를 고정시키기 어렵기에 특정변수가 특정결과를 내는지에 대해서 확정적으로 말하는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말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사회과학이 자연과학에 비해서 덜 정확하다거나 연구해도 의미가 없는 학문은 아닙니다. 변수의 통제가 어렵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관측하는 현상은 우리와 같은 사람이 만들어 내는것일뿐 아니라 작은 변수에 의해 생기는 예외사항을 제외시켜나가다보면 딱 떨어지지는 않더라도 일정한 패턴이 발견되곤하니 말입니다. 그리고 이 책은 특정 변수가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지를 국가적 규모에서 분석을 시작하여 이를 개인의 관점으로 좁혀 우리가 잘 살기위한 특정한 패턴을 알아내고, 삶에 적용시켜보는 책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개인의 삶에선 너무나도 많은 상황과 많은 변수가 있기에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기에 어렵지만, 거시적인 관점으로 넘어간다면, 작은 변수들에의해 생기는 예외사항을 제외시키기 쉽기에 정형화된 패턴을 분석하기에 용이하다고 보는듯 합니다.)

 

책의 구성

1. 국가적 관점에서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국가는 어떻게 생기는것인가?

 

부자나라와 가난한 나라는 무슨 차이가 있는가?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요약)(해석) 1

목표 1.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 국가에 차이가 생긴 이유를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요인으로 나누어 알아본다. 2. 농업의 빠른 시작이 국가의 부유함과 무슨상관이 있는지 알아본다. 3. 좋은 제도란

golmoc.tistory.com

 

2. 개인위기와 국가의 위기는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가?

 

개인과 국가의 연관성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요약)(해석) 2 (국가의 관점을 개인의 관

- 앞장에서 국가가 부유해 지기위한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장에서는 국가와 개인에 존재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기반으로 국가가 부유해지기 위한 요인을 어떻게 개인의 삶에 적용시

golmoc.tistory.com

 

3. 국가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을 개인의 상황에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부자되는 방법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요약)(해석) 3 (국가적 관점으로 바라본 잘살기

목표 1. 국가적 관점에서 바라본 역사적 사실에 숨겨진 의미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2. 국가점 관점에서 바라본 의미를 통해 우리가 잘 살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국가점 관점으로 바라본

golmoc.tistory.com

 

+ 중국은 과연 부유한 국가로 성장할 수 있을것인가?

+ 세계에 닥친 세가지 문제와 방향

 

공산주의의 단점과 세계의 위기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 부록 (중국은 세계 1위 국가

+중국은 세계1위가 될 수 있을것인가? 1. 중국의 특징  - 세계 공식적 인구 1위 국가  - 세계에서 국가면적이 3번째로 큰 국가 (러시아 > 캐나다 > 중국)  - 경제력과 정치력이 급성장한 국가  - 농

golmoc.tistory.com

 

그리고 저는 이 책을 3가지 구성에 맞추어 각 장에서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한 개인의 생각을 적어 정리하고, 나머지 두개의 소주제에 대한 생각을 써보려고 합니다.

 

 

책이 말하고자하는 것을 한단어로 뽑아보자면?

  - 확률 : 책에선 여러가지 요인들과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어떤 상황이 펼쳐지는지역사적관점과 개인적 관점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예를들어 부유한 국가가 되기위한 요소들이나, 개인이 건강한 삶을 살기위한것들 말이다.) 그런 관점에서 책은 아마도 확률에 따라 나오는 결과중 최선의 선택을 하길 바라는것같다. 그것이 국가이든, 개인이든 말이다.

 

 

책을 추천합니다.

 - 이 책은 내가 잘살기위해 열심히 살아야하는 이유에 대해 의문을 품는사람들이나 잘 살기위한 방법에대한 확신을 갖고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하고싶다. 아무리 의심을 해도 역사적 사실이 반증시켜주는 확률에 따른 패턴까지 의심하는 사람은 드무니까 말이다.

 

"열심히한다고 다 성공하진 않지만, 성공한사람은 다 열심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