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3)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 프롤로그
책의 목적 사회과학은 우리가 집단적으로나 개인적으로 하는 행동의 원인을 분명히 하여 체계화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학문입니다. 하지만 사회과학은 자연과학과 달리 우리가 특정 변수와의 인과관계를 알아내려해도 특정변수를 통제한 실험이 자연과학에 비해 쉽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자연과학에서 A의 변수가 B의 결과를 내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한다면, 다른 변수를 고정시키고 A가 있는실험 없는실험으로 시행하는데 불가능하지 않지만, 사회과학에서는 A변수가 있고없고에 따른 새로생기는 변수나, 두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상태와 규모를 고정시키기 어렵기에 특정변수가 특정결과를 내는지에 대해서 확정적으로 말하는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말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사회과학이 자연과학에 비해서 덜 정확하다거나 연구..
2022.06.12 -
아들러가 추구한 심리학(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밤을 4번 읽고)(반항의 아이콘 아들러)
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 밤을 그냥 한번, 정리하면서 한번, 블로그에 쓰기위해 한번, 검토하면서 한번 총 네번을 읽고나서 느낀 이 책은 어떤책인지, 이 책에서 말하는 심리학의 지향점은 무엇인지, 이 책에서 나온 심리학의 기반은 무엇이고, 아들러의 심리학이 필요한 사람은 누구인지, 아들러의 심리학을 삶에 적용시킴으로써 얻는점에 대해 총 5가지를 써보려한다. Q1. 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 밤은 어떤책인가? - 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밤은 아들러의 심리학을 알기위한 구성요소를 외우기 부담없이 구성했으며, 구성요소를 이해하기 위한 여러가지 소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a1. 외우기 부담없는 구성 - 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 밤을 아들러의 심리학을 이해하기 위해선 3가지의 용기만 가지면 된다고 말한다. 3개는 사람이 편하..
2022.06.09 -
인간관계의 수월함을 위한 책 (인간본성의 법칙을 읽을 준비) - 인간본성의 법칙 0
인간 본성의 법칙은 900p이상의 두꺼운 도서이다. 이 책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분량만이 아니다. 그 책을 읽어가면서 이해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그것을 내것으로 만들어가는 시간이 엄청나게 소요되는 책이다. 책을 다 읽는데에는 약 14일의 시간동안 하루 3~4시간씩 읽었던 것 같다.(약 40시간정도 소요됐다.) 책의 목표 좀 더 생산적인 인간이 되기위해서 자신에게 있는 비생산적인 요소와 위험요소를 알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한다.(여기서 생산적인 인간은 이성적인 인간과 비슷한 의미이다.) 책의 구성 책의 내용 : 인간 본성의 법칙을 왜 공부해야하는지, 18개의 인간본성의 법칙 각 장의 구성 1. 각 장에 맞는 인간본성의 법칙에 관련된 에피소드와 해석 2. 본성과 관련된 특징 3. 본성을 유용..
2022.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