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삶(3)
-
부자되는 방법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요약)(해석) 3 (국가적 관점으로 바라본 잘살기위한방법)(우리는 무엇을 위해 노력해야하는가)
목표 1. 국가적 관점에서 바라본 역사적 사실에 숨겨진 의미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2. 국가점 관점에서 바라본 의미를 통해 우리가 잘 살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국가점 관점으로 바라본 부유한국가가 되기위한 요소에 숨겨진 의미 외부적 요인 1. 농업 = 능력 (노동의 양과 결과의 양) - 우리가 농업을 인류의 1차 혁명이라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분업덕분이고, 분업의 이유는 하루를 살아가는데 하루를 전부다 소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전체 인구를 먹이는데 필요한 식량에 들어가는 노동력이 감소하였기에 그에 따른 잉여 노동력이 생기고 이는 다른 산업을 발전시키는 결과를 만들어 냈다고 볼 수 있는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농업은 우리가 가진 능력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치 우리가 생..
2022.06.15 -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 프롤로그
책의 목적 사회과학은 우리가 집단적으로나 개인적으로 하는 행동의 원인을 분명히 하여 체계화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학문입니다. 하지만 사회과학은 자연과학과 달리 우리가 특정 변수와의 인과관계를 알아내려해도 특정변수를 통제한 실험이 자연과학에 비해 쉽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자연과학에서 A의 변수가 B의 결과를 내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한다면, 다른 변수를 고정시키고 A가 있는실험 없는실험으로 시행하는데 불가능하지 않지만, 사회과학에서는 A변수가 있고없고에 따른 새로생기는 변수나, 두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상태와 규모를 고정시키기 어렵기에 특정변수가 특정결과를 내는지에 대해서 확정적으로 말하는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말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사회과학이 자연과학에 비해서 덜 정확하다거나 연구..
2022.06.12 -
더 나은 삶은 성격에서 시작된다. - 인간본성의 법칙(요약/해석) 4 (강박적 행동의 법칙)
우리는 비슷한 경험 심지어는 같은 경험을 하고도 다른 생각을 한다. 그리고 이런 생각의 차이는 그때당시에는 아무런 힘도 발휘하지 못하더라도 앞으로의 삶에있어서 커다란 격차를 만들어내곤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기위해선 자신의 생각하는 방식인 성격을 바꾸어야한다. 그렇다면 성격을 형성하는것은 어떤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성격을 어떻게 활용하면 더 나은삶을 사는지와 자신의 성격을 원하는 삶에 맞추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목표 (안정된 나와 원활한 인간관계를 향해) 1. 우리는 불안한 상황에서 극단적 행동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2. 불안한 상황을 알기위해 자신의 성격이란 무엇인지 알고 파악해본다. 3. 파악한 성격을 통해 자신의 장단점을 알고, 타인에게 적용시켜 확장시켜본다. 인간본성..
202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