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으로 알아본 자아존중감 - 심리학, 자존감을 부탁해(요약)(해석) 1 (인식)

2022. 6. 21. 20:05책이 있는곳/심리학, 자존감을 부탁해


목표

1. 낮은 자존감이란 무엇인지 알아본다.

2. 낮은 자존감의 근간이 되는 4가지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3. 낮은 자존감을 극복하기위한 마음가짐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낮은자존감이란?

 - 낮은 자존감을 가졌는지에 대해 알기위한 간단한 질문을 한가지 뽑아보자면 "내가 가진 약점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일것이다. 이 질문은 간단해보이지만 4가지 요소에대해 물어보는 질문이다. 그 요소에는 믿음, 두려움, 회의감, 자기방어가 있다. 그렇다면 각각의 요소를 통해 어떻게 자신이 낮은자존감을 가졌는지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낮은 자존감의 근간이 되는 4가지 소요

1. 믿음

- 낮은 자존감을 가진사람은 믿는것이 약해 자기자신조차 믿지못한다. 그렇기에 자기자신에 대한 능력을 계속해서 의심하기에 자신의 모든 부분이 약점이 된듯하고, 자기자신이 가진 약점을 받아들이는 것을 자신이 약하다는것을 인정하는것처럼 느끼곤한다. 만일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다면 낮은 자존감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2. 두려움

 - 낮은 자존감을 가진사람은 인간관계에서 극심한 두려움에 휩싸인다. 이런 두려움은 한 사람과의  관계에 너무나도 큰 의미를 부여하면서 시작된다. 예를들어 주변사람들이 자신을 떠나지 않을까하는 두려움과 다른이들이 어떤 부탁에대해 거부하는것이 자신을 거부한것처럼 느끼는 등 말이다. 하지만 실상은 다른사람이 떠나지 않을뿐아니라, 설령 그 사람이 내 주변을 떠난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생각한것만큼 크게 두려운 상황이 생기지 않는다. 만일 인간관계에서 큰 두려움을 느낀다면 낮은 자존감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3. 회의감

 - 낮은 자존감을 가진사람은 자주 삶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곤한다. 자신이 과거 실수한 행동에 대해 끝임없이 되뇌이면서 자신의 가치를 깍아내리거나, 자신의 실수가 자신의 잘못이 하나도 없으며, 어쩔 수 없는 실수라고 합리화하면서 말이다. 이와같은 두 경우는 모두 낮은 자존감일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자신을 스스로 깍아내리면서 자신을 향한 믿음을 약하게 만들기때문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실수가 자기 발전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드물기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되고, 이에 대한 결과는 자신의 실제적 가치를 떨어뜨리게 되니 말이다. (우리가 아무리 자신의 잘못이 없다고 말하더라도 주변의 모든사람이 자신의 잘못이라고한다면 우리의 믿음은 쉽게 무너지고 만다.) 만일 자신의 삶에 대해 회의감을 자주느낀다면 낮은 자존감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위와같은 이유로 결말이 맺어진다면 낮은 자존감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4. 자기방어

 - 낮은 자존감을 가진사람은 자기방어적 성향을 자주 보인다. 이러한 심리는 자신의 약한 속내가 들키지 않기위한 마음에서 비롯된 것으로, 자신의 본 모습을 들켰을때 예상되는 일에 두려움이 기반이 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실상은 우리가 예상한것만큼 충격적인 일은 일어나지 않더라도 말이다.) 만일 자신이 인간관계에서 자신의 약점에 대해 방어적 성향을 띤다면 낮은 자존감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만일 이런 방어가 공격적 성향으로 발전되었다면 낮은 자존감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낮은 자존감을 극복하기위한 마음가짐

 - 낮은 자존감을 극복하기위해선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생각한다. 가장 근본적 방법으로는 자신의 마인드셋을 재정비하는것이고, 부가적 방법으로는 자신이 잘하는 일을 만들어 내는것이다. 자존감은 결국 자신의 마음가짐에서 비롯되는것이기에 자신의 마인드셋을 재정비하는것이 낮은자존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임에 틀림이 없고, 자신이 잘하는 일을 만들어 내는것은 자신이 자신의 약한 부분을 받아들이는데 이성적인 부분에서 도움을 주기에 부가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나는 이런 부분에 약하지만 이런부분에서 강하기에 괜찮다고 생각하면서 말이다.) 하지만 마인드셋의 변화없이 부가적 방법만으로 낮은자존감을 극복하는것은 왜곡된 결과를 만들어낼 가능성이 높기에 마인드셋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낮은 자존감을 극복하기위한 마인드셋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자기자신에 대한 믿음

 - 낮은 자존감을 극복하기위한 마음가짐의 첫번째는 자기자신을 믿는것이다. 정확히 말해서는 자기자신의 가능성을 믿는것이라 말할 수 있다. 여기서 핵심은 가능성이다. 우리가 자기자신에 대해서 믿지 못하는 이유는 자신이 행동한 일이 잘못되지 않을까하는 두려움과 자신이 저질렀던 실수가 결합되면서 생긴 능력에 대한 두려움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실수와 자기발전에서 설명하겠지만, 결론적으론 우리가 자신의 현재 상황에 대한 능력의 부족함에 두려움을 느끼며 실수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필요가 없다는 것이며, 설령 두려움을 느낀다고 하더라도 상황은 악화될 뿐이라는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그런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지 않으려하는 사람에게 까지 강요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사람은 각자만의 타이밍이 있고, 누군가에게 있어선 극복을 위한 에너지도 남아있지 않을 수 있으니 말이다.) 그러니 우리는 자신의 능력을 믿지 못하더라도 자신의 가능성을 믿을 필요가 있다. (혹시나 그래도 두려움이 생긴다면 이렇게 속으로 생각해보아라. "죽기야 하겠어?")

2. 부담없는 인간관계 (의존이아닌 의지로)

 - 우리가 인간관계에서 두려움을 느끼는 이유어떤 집단에서 방출되었을때의 상황에 대한 공포감 때문이라 생각한다.(개인적으로 사람이 어떤 집단에 소속되고자 하는 마음의 기저에는 과거에서부터 시작된 생존의 유리함에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러한 현상은 굉장히 자연스러운 감정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공포는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상대방의 부탁을 거절하면 상대방이 나를 떠나버린다고 생각하며, 나의 부탁이 거절당하면 상대방이 나를 떠난것으로 생각하게되며 인간관계의 부담감을 점점더 키워가게 된다. 하지만 실상은 상대의 거절이 상대방과의 단절을 의미하는것은 아니며, 설령 단절을 의미한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생각한것만큼 두려운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적어도 현대사회에 있어선 말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인간관계에 대해 부담을 덜 느끼며, 상대가 주체가된 인간관계가 아닌 내가 주체가된 인간관계를 할 필요가 있다. (혹시나 인간관계에 대한 부담감을 떨쳐내기 어렵다면, 이렇게 속으로 생각해보아라. "나혼자서도 충분히 가능하지!")

 

3. 실수는 자기발전

 - 낮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들은 실수를 영영 회복할 수 없는 것으로 치부해버리곤 한다. 마치 실수의 기회를 하지 말아야할 것으로 생각하며, 자신이 실수할 것같은 상황에 두려움을 느끼고 아무런 시도조차 하지 않게되면서 말이다. 하지만 실수란 우리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생각치도 못한 변수에 대한 연습할 기회를 주고, 우리의 능력의 공백을 더욱 꼼꼼히 채워주기 때문이니 말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실수를 자신의 능력의 공백기를 채울 수 있는 좋은 자기발전의 기회로 생각하며 실수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낼 필요가 있다. (혹시나 자신이 실수할 것같은상황에 두려움이 쉽게 떨쳐지지 않는다면, 이렇게 속으로 생각해보아라. "드디어 내가 레벨업을 할 기회가 왔구나!")

4. 자기방어의 필요성

 - 우리가 자기방어를 하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이다. 첫번째는 자신이 공격을 받았거나, 두번째는 자신이 공격받았다고 생각하는경우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자기방어를 해야할 필요가 있다. 아무런 말을 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하곤 하니 말이다.(아무리 높은 자존감을 가졌다고 하더라도 주변에서 계속되는 비난과 비판을 받는다면 우리는 버티기 힘들것이다.) 다만, 낮은 자존감을 가진사람이 행하는 자기방어의 대다수는 후자의 경우일때가 많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자기방어는 의심으로 비롯된 것이기에 쉽게 공격성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에 우리는 자기방어를 필요한 순간에만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런 순간은 찰나의 기회에 다가오는것이 아님을 기억하자. (혹여나 지금 당장 자기방어를 하지 않으면 큰일 날것같다고 생각이 들었다면, 그것은 후자의 경우일 가능성이 높다. 진짜로 자신이 공격받았다면, 주변에서 먼저 물어볼 것이니 말이다.) (혹시나 자신이 자기방어의 욕구가 들어 하게될것 같다면 이렇게 속으로 생각해보아라. "어차피 판단은 제 3자들이 해주는거니까.")

 


생각 : 낮은 자존감의 기저에는 자신을 향한 불신이있다. 그렇기에 자신읠 끊임없이 의심하며 자신의 가능성을 닫고, 자신을 그 누구도 좋아하지 않을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자신이 아무리 극악무도한 짓을 하더라도 세상에 자신을 좋아해주는 사람 한명은 존재한다. 그 사람이 자신과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말이다.

 

 


3줄요약

1. 낮은자존감은 자기믿음의 부재, 인간관계의 두려움, 자신에대한 회의감, 극단적 자기방어적 성향으로 나타난다.

 

2. 이를 극복하기위해선 자신의 가능성에대한 믿음, 부담감없는 인간관계, 실수는 자기발전, 적절한 자기방어의 마음가짐을 가져야한다.

 

3. 그렇다면 이제 확인해볼 시간이다. "자신의 약점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나조차도 나를 믿어주지 않는다면, 누가 나를 믿어주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