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기제를 뚫는 방법 - 인간본성의 법칙(요약/해석) 7 (방어적 태도의 법칙)

2022. 5. 22. 15:17책이 있는곳/인간본성의 법칙

우리는 낯선사람이나 낯선 무엇인가에 마주칠때 방어적 태도를 취한다.

 

그리고 이러한 방어적 태도는 우리에게 이점을 가져다 주기도 하지만, 분명히 단점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있는 방어적 태도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우리가 가진 방어기제의 단점을 최소화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며

 

상대방의 방어기제를 뚫고 들어갔을때의 이점과 방법을 알아보자.

 


목표

1. 우리가 자기방어태도를 보이는 이유를 알아본다.
2. 나에게 있는 자기방어적 행동에서 부정적인 부분을 알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3. 상대의 자기방어를 뚫을때의 이점과 방법을 알아본다.

 


인간본성의 법칙

1. 사람들은 기존에 자기가 믿어왔던 생각과 신념에 부정당할때 방어적 태도를 취한다.
2. 사람은 기본적으로 자신을 주인공으로 만들어주는 사람에게 호감의 감정을 느낀다.
3. 사람은 자신이 가진것을 빼앗기려할 때 방어적 태도를 취한다.
4. 사람은 자기평가를 한다. 다만, 이것은 정확할수도 아닐수도 있다.



자기방어적 태도를 취하는 이유와 부정적부분

- 우리는 각자만의 경험과 생각을 통해 신념과 자신 소유의 무엇인가를 만들며 살아왔다. 하지만 이러한 자신의 것들은 언제든지 공격당하는 곳에 놓여있고, 심지어 언제는 빼앗기기도 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런 자신의 것을 지켜야겠다는 합리적 판단을 하게되고, 이는 자기방어적 성격으로 나온다. 사실상 자기방어적 행동은 굉장히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행동이다. 예를들어 자신이 10년간 고생하여 모아놓은 재산을 일순간에 모두 잃는다면 이것은 어찌보면 자신의 삶 10년을 잃는것과 마찬가지로 볼 수도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런 자기방어의 벽이 너무 높아지는 순간 우리는 힘들어진다. 자기방어의 벽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외부의 것을 받아들이려 하지않고, 자신의것에 매몰되어가니말이다. 그리고 이것은 계속해서 변해가는 세상에서 도태되어가는 지름길로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외부의 것을 수용하면서 자신의 것은 지켜나가는 벽을 세우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자기방어적 태도의 부정적 부분을 없애기위한 방법

- 그렇다면 급속도로 나아가는 세상속에서 도태되지 않기위해서 어찌해야하는가? 자신이 무지한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대체로 위에 나온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이지 않는것은 자신이 모든것을 알고 있는것 같다는 착각속에서 나오는 오만과 비슷한 것이다. 그렇기에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자신이 굳이 외부의 것을 받아들이기 위해 노력할 필요도 받아들일 필요도 없다는 결론이 나오니 말이다. 하지만 자신이 무지하다고 생각한다면 자신이 더욱더 알기 위해서 노력할 것이고 자신이 알고 있는것과 비교하여 받아들일 것이니말이다. 여기서 자신이 무지하다는 생각이 무조건적인 수용으로 이어지면 어떡해야하는지에 대해 반문할 순 있다. 하지만 우리가 아무리 무지하다고 생각하더라도 자신이 무엇인가를 알고 있다는 사실은 불변하는 사실이기에 자동적으로 선별하여 외부의 정보를 걸러낼 가능성이 높다.

 


자기평가에 대한 간단한 생각

- 우리는 종종 자기평가를 한다. 어떤 사람들은 객관적 자기평가를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객관적 자기평가에 실패하곤한다. 이는 자기자신을 자기가 잘알고있다는 생각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남들이 뭐라고 하든 자신을 잘아는 것은 자기자신이기에 자신의 생각이 맞다고 합리화를 하면서 말이다. 이것은 어느부분 맞는말이지만, 어느부분 틀린말이다. 남들은 우리의 생각을 모두 볼수 있는것이 아니기에 어떤 성격을 가졌는지 정확히 볼 수 없는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그만큼 우리도 자기자신이 하는 행동이 남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모르기에 자기자신을 객관적으로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자기객관화를 정확히 하기위해선 어떻게 해야하는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자기자신에 대해 무지를 인정하는것이 시작이 될 것 같다. 왜냐하면 자기자신에 대해 자신이 잘 모른다고 생각한다면 자신이 이런 성격을 가졌을 수도 저런 성격을 가졌을 수도 있기에 자신이 하는 행동이 잘못된 행동을 하는것일수도 올바른 행동을 하는것일수도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생각하니 말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긍정과 부정의 과정을 통해서 자신을 알아가면서 좀 더 객관적인 자기평가를 할 수 있지않는가에 대한 생각을 한다.



상대방의 자기방어적 태도를 뚫을때의 이점과 방법

- 이점 : 자기방어적 태도를 가진사람과 대화하거나 협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설령 협력이나 대화를 이끌어 내더라도 이는 겉치레식의 대화와 협업이지 진실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에 우리는 상대와 진솔한 대화와 진정한 협업을 통해 깊은 유대감과 높은 효율성을 이루어 낼 수 있다.

1. 심취해서 듣기(진심) : 경청은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인 행동이다. 의사소통은 상대에게 나의 의견을 전달하는 것이고, 이것을 위해선 상대방을 아는것이 우선적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진심을 다한 듣기는 상대방을 알게 만들기도하며 상대방의 자기방어적 태도를 자동적으로 풀게만드는 방법이기도 하다.(대체로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려는 이가 별로 없기에 경청하기만해도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는건 당연한 일이다.)


2. 즐거움 : 자신을 즐겁게 해주는 사람에게 적대감을 가지는 사람은없다. 자신의 감정에 도움이 되는사람을 멀리하려는 사람도 없다. 설령 우리는 그 즐거움에 의심을 품기도하더라도 즐거움에 쉽게 매몰되곤 하고, 종종 기분이 나쁜부분도 웃음에 포장되어있으면 유쾌하게 받아들이기도 하니말이다. 그만큼 즐거움의 감정은 강력한 힘이다.


3. 자기평가의 긍정 : 상대가 자기평가를 부정적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그에 대해 좋은부분을 찾아주어라. 그렇다면 상대방에게 자존감을 높여주는 행동이 될것이고 상대방은 자신을 인정해주는 그대를 더욱더 찾게될 것이다. 하지만 이때 아무 이유없이 긍정해주는 것은 오히려 상대방에게 의심의 감정을 들게할 수있으니 주의하기를 바란다.


4. 칭찬 : 사람은 칭찬받으면 좋아하기 마련이다. 상대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증표이고 사람은 인정받기 위해서 살아가니말이다. 그리고 이때 능력이나 그 사람이 가진 외적인 부분보다는 그사람이 한 노력이나 내적인 부분을 칭찬해주면 더욱더 효과적일 것이다.


5. 힘든것을 공유해 주기 : 사람은 자신이 잘될 때 받는 도움보다 힘들 때 받는 도움에 더 큰 고마움을 느끼기 마련이다.




생각 : 자기방어적 행동은 굉장히 합리적인 행동이다. 다만, 이러한 방어적 행동에 모든것을 막도록 한다면 현상유지만 될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무지의 문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공격은 막되 내부로의 도움은 얻어야 한다. 또한 상대의 성벽에 있는 문을찾아 상대방이 열어 그곳으로 들어가 진정한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한다.



3줄 요약

1. 우리는 방어적 태도를 취한다.


2. 방어적 태도에는 좋은점과 나쁜점이 있으며 좋은점을 활용하고 나쁜점은 제한할 수있는 방법이 있다.


3. 방어적 태도의 분석을 확장시켜 타인의 방어적 태도를 분석하고 진정한 대화와 협력을 이끌어낸다.


"문이없는 성벽은 외부의 공격뿐 아니라 내부로 들어오는 도움도 막아낸다."

 

 

+ 다른 인간본성의 법칙이 궁금하다면?

 

인간본성의 법칙은 어떤책인가? (100시간동안 읽고나서)

인간본성의 법칙을 읽으면서 한 번, 정리하면서 한 번, 블로그에 작성하면서 한 번, 그에 대해서 검토하면서 한번 총 4번정도를 하루 평균 3~4시간씩 약 1달가량 읽고나서 이 책에 대해서 4가지 정

golmoc.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