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6. 9. 20:32ㆍ책이 있는곳/아들러 심리학을 읽는밤
목표
1. 아들러의 과거를 통해 아들러의 심리학을 이해한다.
2. 아들러의 심리학을 위한 3가지 주제를 알아본다.
아들러의 과거
유년시절
1. 첫째만을 아끼는 가정에서 태어난 둘째
2. 태어난 이후 짧은 기간동안의 어머니의 사랑
3. 자신에게 걸린 구루병과 폐렴
4. 자신이 아끼던 동생의 죽음
이후
1. 의사로의 진학
2. 교육에 대한 불만과 관심
3. 면제임에도 참전과 군의관 경험
4. 프로이트 원인론에대한 반감
아들러 : 반항의 아이콘
- 아들러의 삶은 반항 그 자체로 볼 수 있다. 아들러는 첫째만을 아끼는 가정에서 짧은 기간동안의 어머니의 사랑을 느꼈음에도 그 관심과 사랑에 집착하지 않았다. 또한 유년시절 신체적 나약함과 아끼던 동생의 죽음은 자신이 어쩔 수 없는 것에대해 반항심을 느껴 그 이후 의사로 진학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프로이트의 원인론에 반감을 느꼈으며, 교육과 군의관으로의 참전은 그에게 반항심의 감정이 있음을 예상케 도와준다. (교육에 대한 관심은 교육제도에 불만이 있어서 관심이 있었고, 군의관 또한 면제임에도 굳이 참전한것이기 때문에 커다란 억측은 아닐것이라 생각한다.) 이런 아들러의 생애를 통해 봤을때 어쩌면 아들러는 무너지기 싫은 감정을 위해 반항심으로 중무장한 사람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보통사람들을 위한 아들러
- 프로이트의 철학에 대해선 아직 잘 모르지만 한가지 확실한것은 원인론을 주요 기둥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하는 행동의 모든 것에는 원인이 있고, 그 원인에 따라서 행동한다고 말이다. 하지만 이런 프로이트의 철학은 너무나도 어려우며 제한적 사고를 가져다 준다.(모든 원인이 항상 같은 결과를 내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한가지 원인을 통해서 결과를 도출해 낼수도 없으니 당연히 어려울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과거에 어떤 현상이 있었다면 자신의 미래는 확정되었다고 바라보는 시각이니 말이다.) 이런상황에서 모든 것에 반항심이 있었던 아들러는 한계를 정해버리는 원인론에 반항심을 가졌을 것이고, 이는 자신처럼 한계에 부딪쳐 고생하고 있을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기 위해서 목적론을 선택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런 의견에 보충설명이라도 해주듯이 아들러는 보통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게 만들려고 많은 노력을 했다. 쉬운언어를 선택하고, 책으로 편간하여 냈으며, 제스처를 적극활용한 강연을 하는등 말이다.
아들러의 심리학을 이해하기 위한 3가지 주제
1. 원인론 그리고 목적론
아들러의 심리학에선 원인론을 굉장히 싫어하는것으로 비춰진다. 한계를 가두고 결과를 매듭지어 버리기 때문이다. 원인론은 우리의 앞으로의 삶이 과거의 삶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전제로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그 틀에서 벗어 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런 원인론에는 수직적 사고가 들어 갈 수 밖에 없다. 결과에 좋고 나쁨을 정해버리니 말이다. 아들러는 그런 관점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고, 그 끝은 목적론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우리가 하는 행동의 모든것은 원인이 있어서가 아니라 목적이 있어서이고, 우리가 하는 행동은 어쩔 수 없음이 아니라 내가 정하는 것이라고 말이다.
2. 선악과 각자만의 기준
아들러의 심리학에 따르면 악을 선택하는 사람은 없다. 남들이 보기에 악으로 보일지라도 그 사람에겐 있어선 그 선택이 정의이고 선이다. 그리고 그 사람은 자신만의 정의와 선을 이루기 위해서 다른이들이 악이라 부르는 것을 기꺼이 선택한다고 보는것이다. 이것을 보고 무슨 말장난이냐고 생각할 수도있다. 하지만 이것은 아들러의 심리학을 이해하기 위한 꽤나 중요한 주제라고 생각된다. 선과악을 나눈다는것은 자신만의 기준으로 세상을 수직적으로 바라본다는 것이고, 아들러의 심리학은 수평적 사고를 기반으로 할때 힘이 생기니 말이다.
3. 인생의 과제와 결정론
우리는 인생의 과제를 마주한다. 그리고 그 과제를 해결하기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원인론은 그런 과제의 끝은 자신이 해왔던 과거에 의해서 정해져 있다는 생각을하며, 자신의 한계를 닫아버리곤한다. (그러니까 A업무는 A대학정도의 사람들이 해결할 수 있다고 말이다.) 물론 이런 방식은 효율적으로 사람을 고용하는데 도움을 줄순 있지만, 적어도 자신의 삶의 관점에 있어선 크게 도움을 주진 못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것이 자신의 삶에 있어서도 합리적이고 굉장히 이성적인 생각이라며 포장하며 원인론을 받아들이곤 한다. (물론 이것이 자신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바라볼때는 맞는 소리일 수 있다. 하지만 적어도 자신의 미래를 생각해본다면, 굳이 자기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미래를 닫아버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 아들러의 심리학에 따르면 원인론은 세상을 수직적으로 바라보는것에서 나오는 결과라고 볼 수있다. 또한 설령 수직적사고가 세상의 진리라고 할지라도 그런 삶은 재미있어 보이진 않는다.(마치 결말을 알고 보는 영화처럼 말이다.)
아들러의 심리학에 대한 생각
아들러의 심리학이 어쩌면 억지를 쓴다고 생각이 들때가 많았다. 모든일에 목적을 들먹이면서 원인에 대해선 함구하니 말이다. 원인론은 우리의 지구에서 최상의 먹이사슬에 도달하기까지 이끌어주게 만든 중요한 사상인데도 말이다. 그런데도 아들러의 심리학에서 한가지 동의 하는 생각은 개인의 삶에선 프로이트의 원인론 보단 아들러의 목적론이 훨씬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다. 우리의 삶에서 원인을 찾고, 나의 삶이 이렇게 된 이유를 발견하는것도 중요하겠지만, 훨씬 중요한 것은 내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를 정하는것이니 말이다. 아무리 중요하고 아무리 큰 의미를 가져도 과거는 과거이고, 아무리 하찮고 아무리 작다고 생각해도 미래는 무궁한 가능성이 열린 미래이니 말이다.
3줄요약
1. 아들러는 자신의 처지에 무너지지 않으려 노력한 반항의 아이콘이라 볼 수 있다.
2. 그 결과 자신의 한계를 닫지 않으려 노력했고, 이는 목적론과 수평적 관계에 치중한 심리학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3. 아들러의 심리학이 이성적이진 못할지라도 개인의 삶에서 모든 상황에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해선 우리가 예상한만큼만 살게 될 것이다.
"만일 미래가 정해져 있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삶이 사실일 지라도, 나는 그 미래를 내가 정할 수 있다는 미련한 희망을 가지고 살겠다"
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밤이 궁금하다면?
아들러가 추구한 심리학(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밤을 4번 읽고)(반항의 아이콘 아들러)
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 밤을 그냥 한번, 정리하면서 한번, 블로그에 쓰기위해 한번, 검토하면서 한번 총 네번을 읽고나서 느낀 이 책은 어떤책인지, 이 책에서 말하는 심리학의 지향점은 무엇
golmoc.tistory.com
'책이 있는곳 >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러가 추구한 심리학(아들러의 심리학을 읽는밤을 4번 읽고)(반항의 아이콘 아들러) (0) | 2022.06.09 |
---|---|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요약)(해석) - 3 (행복해질 용기) (0) | 2022.06.09 |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요약)(해석) - 2 (평범해질 용기) (0) | 2022.06.09 |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요약)(해석) - 1 (미움받을 용기) (0) | 2022.06.05 |